CS/Network
[Network] IGRP 라우팅 프로토콜
RIP와 같이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에 속한다. Distance-Vector Routing Protocol / Dynamic Routing Protocol / 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 IGRP 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* 배경RIP가 초기에 만들어져서 인터넷이 이렇게 규모가 커질 줄 몰랐다.홉 카운트가 15개 제한..=> IGRP 등장 * 특징1홉 카운트로만 경로를 결정하지 않고,bandwidth, delay, Reliability, Load, MTU => 5가지 요인으로 경로 선택을 한다.속도가 빠른 길 찾아감. RIP보다 똑똑! * 특징2 최대 홉 카운트: 255 -> 좀 더 큰 네트워크에 사용 가능. * 특징3VLSM(Variable L..
[Network] Distance-Vector 라우팅 알고리즘
v 이더넷과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여야 한다 v 한 라우터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을 2개 이상 사용해야 한다면 Adminstrative Distance가 가장 작은 게 우선 ! * 라우팅 프로토콜별 Adminstrative DistanceRIP(120), IGRP(100), OSPF(110)Connected interface(0),Static route out an interface(0),Static route to a next hop(1) Distance-Vector 라우팅 알고리즘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주기적으로 (30초) 계속 전달 업데이트가 모든 네트워크에 전달되는 시간 Convergence Time이 많이 발생한다.=> 루핑 발생 v 루핑이 발생하는 이유한 라우터가 라우팅 정보에 대..
[Network]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&관리하는 방식 2가지
1. Static Routing Protocol: 사용자가 목적지까지 경로를 직접 지정해줌 2. Dynamic Routing Protocol: 라우터가 자동으로 가장 빠른 경로를 찾음 (라우팅 테이블을 유지&관리하는 방식의 차이)(1) Distance Vector Algorithm특징: 각 라우터가 목적지까지의 모든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, 목적지까지의 거리(홉 카운트) 와 어떤 인접 라우터를 거쳐야 하는지 방향만을 저장한다. 인접 라우터와 주기적으로 라우터 정보를 공유하여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한다. 소형 네트워크에 적합. 장점: 메모리가 적게 들고, 구성이 쉬움. 단점: 라우터 정보가 바뀌든 안 바뀌든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함. 한번 정보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