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sc
![[ASC 스터디] 9주차 - Return to Library(RTL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ANajs%2FbtrKuU2sSEV%2FAAAAAAAAAAAAAAAAAAAAAKk6QZokyxV38nYlB6O2YfNalPyBrb43aySkxR0_9uAM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FVQ6AwpxUMTrrQCgr%252B5IK0zwze8%253D)
[ASC 스터디] 9주차 - Return to Library(RTL)
👉 지난 차시 2022.08.19 - [System-hacking/📖] - [ASC 스터디] 8주차 - Stack Canary + Out Of Boundary 1. Return To Libc ( RTL ) 살짝 어려울 수 있다 ! 1.1. 함수호출 규약( Calling Convention ) :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에 대한 약속 함수 호출 규약은 인자 전달 방법, 인자 전달 순서, Stack Frame을 정리하는 방법에 따라 그 종류를 구분한다. 함수호출규약 참고 > 함수호출규약 1. 함수 호출 규약 개요 함수 호출 규약(Calling Convention)이란,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에 대한 약속이다. 함수 호출 규약은 인자 전달 방법, 인자 전달 순서, Stack Frame을 정리하는 방법에 따라 그 종..
![[ASC 스터디] 4주차 - 레지스터, 어셈블리, 연습문제, GDB 사용법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KBG0b%2FbtrFTNmq9GD%2FAAAAAAAAAAAAAAAAAAAAAEWdcbeQurD3b3Stq4N_MGht2qQwJZuLQKPYYdnmLJQf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rihVKJRlOZAZflgDpe2%252FyFilBc4%253D)
[ASC 스터디] 4주차 - 레지스터, 어셈블리, 연습문제, GDB 사용법
👉 지난 차시 2022.06.19 - [System-hacking/📖] - [ASC 스터디] 3주차 - 기초이론, 환경세팅, 메모리구조 ( x86-64 아키텍처 기반 ) 1. 레지스터(Register) CPU가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사용할 때 이용하는 보관소이다. 메모리나 보조 기억 장치보다 빠르다. 1.1. 32비트 레지스터 ✨ E로 시작한다. ex) 32bit EAX > 16bit AX > 8bit AH + 8bit AL - 데이터 레지스터 (1) EAX(Accumulator)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함수 반환 값을 담는다. (2) ECX(Counter) 주로 카운팅할 때 사용한다. ( for문의 i 같이 ) (3) EBX(Base) 주로 주소의 기본 값을 저장한다. (4) EDX(Data) 주로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