RIP와 같이 Distance Vector 라우팅 프로토콜에 속한다.
Distance-Vector Routing Protocol / Dynamic Routing Protocol / 내부용 라우팅 프로토콜
IGRP 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)
* 배경
RIP가 초기에 만들어져서 인터넷이 이렇게 규모가 커질 줄 몰랐다.
홉 카운트가 15개 제한..
=> IGRP 등장
* 특징1
홉 카운트로만 경로를 결정하지 않고,
bandwidth, delay, Reliability, Load, MTU => 5가지 요인으로 경로 선택을 한다.
속도가 빠른 길 찾아감. RIP보다 똑똑!
* 특징2
최대 홉 카운트: 255 -> 좀 더 큰 네트워크에 사용 가능.
* 특징3
VLSM(Variable Length Subnet Mask) 지원 X = 서브넷을 인터페이스별로 따로 주는 방식을 지원 X
* 특징4
CISCO에서 만들어서 CISCO 라우터에서만 사용이 가능.
(+ 지식: 시스코 라우터에서는 라우터가 dhcp 기능을 할 수 있다.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. )
'CS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Distance-Vector 라우팅 알고리즘 (0) | 2024.06.21 |
---|---|
[Network]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&관리하는 방식 2가지 (0) | 2024.05.25 |